Vol.49No.22003
Satire and Fantasy in The Alchemist
벤 존슨의 『연금술사』에 나타난 풍자와 환상
벤 존슨의 『연금술사』에 나타난 풍자와 환상
김소임 So Im Kim
page: 205-226
A Return to the Imaginary Innocence
상상적 순수로의 복귀 -윌리엄 포크너의 『내려가라 모세야』읽기
상상적 순수로의 복귀 -윌리엄 포크너의 『내려가라 모세야』읽기
이명호 Myung Ho Lee
page: 227-250
Cycle, Recycle, and Compost: A.R. Ammons`s Ecopoetics in Garbage
순환, 재순환 그리고 재창조-『쓰레기』에 나타난 A. R. 에몬즈의 생태시학
순환, 재순환 그리고 재창조-『쓰레기』에 나타난 A. R. 에몬즈의 생태시학
김원중 Won Chung Kim
page: 251-269
N. Scott Momaday`s House Made of Dawn: The Politics of "Running"
N. 스캇 마마데이의 『새벽으로 지은 집』-"달리기"의 정치학
N. 스캇 마마데이의 『새벽으로 지은 집』-"달리기"의 정치학
강용기 Yong Ki Kang
page: 271-288
Tom Stoppard`s Transliteration between Theater and Cinema: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
스토파드의 연극과 영화 바꿔 쓰기 -『로즌크랜츠와 길든스턴은 죽었다』
스토파드의 연극과 영화 바꿔 쓰기 -『로즌크랜츠와 길든스턴은 죽었다』
정문영 Moon Young Chung
page: 289-305
The Semantic Continuum of English Causative Constructions
영어 사동구문의 의미적 연속성
영어 사동구문의 의미적 연속성
홍기선 Ki Sun Hong
page: 307-330
The Politics of Desire in Donne`s Songs and Sonnets
욕망의 정치학-존 던의 『노래와 소네트』
욕망의 정치학-존 던의 『노래와 소네트』
최재헌 Jae Hun Choi
page: 331-348
A New Paradigm in Postcolonial Discourse: V.S. Naipaul`s Guerrillas and A Bend in the River
지배담론과 저항담론 사이의 틈새 읽기 -나이폴의 정치소설 연구
지배담론과 저항담론 사이의 틈새 읽기 -나이폴의 정치소설 연구
박종성 Jong Seong Park
page: 349-368
Conceptualizing the Nation through Ecological Aesthetics in Korean-American Literature
한국계 미국문학 연구-생태미학을 통한 국가의 형상화
한국계 미국문학 연구-생태미학을 통한 국가의 형상화
임진희 Jin Hee Yim
page: 369-391
The Interrelation of Reality, Language and Power in Much Ado About Nothing
『헛소동』에서 현실, 언어, 권력의 상관관계
『헛소동』에서 현실, 언어, 권력의 상관관계
이용은 Yong Eun Lee
page: 393-418
강박 신경증적 글쓰기와 희열의 글쓰기 사이 - 이정호 지음, 『T. S. 엘리엇 새로 읽기』(서울대 출판부, 2001) 『「황무지」새로 읽기』(서울대 출판부, 2002)
이일환
page: 419-422